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정치부 안보겸 기자 나와있습니다. 대통령 오늘 발언, '낮은 자세'란 말이 눈에 띄더라고요.<br> <br>네, 윤 대통령 이종섭 전 주호주대사의 자진사퇴 이후 처음으로 공개행보에 나서며 메시지를 내놓은 거였는데요. <br> <br>"더 낮은 자세로 국민 속으로 깊숙이 들어가 아주 작은 목소리도 귀기울이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지지율 하락과 함께 총선을 열흘 앞두고 당 안팎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태도 변화를 압박하고 있는만큼 어느정도 이에 부응한 것이란 해석이 나옵니다 . <br><br>Q. 대통령이 달라져야한다, 여권 수도권 후보들 사이에서도 이야기가 많이 나왔었는데요. 달라지는건가요?<br> <br>우선 오늘 발언을 보면, 변화 기류가 감지되긴 하는데요.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들에게 더 알아봤습니다. <br><br>"대통령은 그동안 주권자인 국민이 늘 옳다는 말씀을 수차례 해왔다"면서요. <br> <br>"국민만 바라보고 일해왔지만 국민 눈높이에서 부족한 부분 있었다면 더 낮은 자세로 국민의 뜻을 받들겠다는 의미 아니겠냐"고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.<br> <br>의대 정원 증원 문제 등 현안에 있어서도 태도가 달라질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한 위원장도 자세를 낮추면서, 이재명 대표는 더 세게 때리는거 같아요?<br> <br>네, 오늘 한 위원장 유세 발언의 핵심은 딱 두가지 포인트였습니다. <br> <br>먼저, 낮은자세. <br><br>국민들의 요구가 있으면 우리는 변할것이다 라는것이고요. <br> <br>다른 한 포인트는 강하고 거친 표현으로 이재명 대표와 야권의 후보들을 때린 다는 겁니다. <br> <br>앞서 리포트에서 보셨듯이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과거 '욕설' 논란도 다시 언급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한 위원장, 쓰레기 같은 과격한 단어를 사용하는 빈도도 늘고 있습니다. <br><br>Q. 한 위원장, 왜 갑자기 이 대표의 과거 욕설 논란을 들고 나온 겁니까?<br> <br>이재명 대표의 도덕성을 극대화해 보여줄 수 있는 가장 강한 한 방이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. <br><br>한 위원장 오늘 유세에서도 "제가 읊을 수조차 없다"고 말하며 발언의 수위가 상당하다는 뜻을 내비추죠.<br> <br>유권자들에게 이 발언을 다시 상기시키면서 이 대표의 도덕성과 자질을 의심하게 만들겠다는 의도인 겁니다. <br><br>Q. 반대로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역구에만 머무르고, 별로 거친 발언에 대응을 안하는거 같아요.<br> <br>네, 이재명 대표는 하루종일 자신의 지역구에만 머물렀습니다. <br> <br>인천 계양을 지역에서 교회와 성당을 갔고, 유세를 했습니다.<br> <br>한 위원장의 정치공세에 대응조차 안 해서 논란을 만들지 않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당 논평 정도는 나오지만, 이 대표나 강성 발언 이어왔던 의원들은, 한 위원장의 공세 일절 반응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지난 28일에는 김민석 민주당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이 후보들에게 공지를 했는데요. <br> <br>그 공지 내용이 "한동훈 위원장의 욕설에 후보들의 과도한 대응은 자제하라"라는 것이었습니다. <br> <br>대응을 할 경우 논란이 더 커질 수 있으니 자제하겠다는 거죠. <br><br>Q. 여야가 각각 다른 행보를 보이는데요, 이 사전투표에는 한 목소리를 내는 거 같습니다.<br> <br>같은 독려 메시지인데, 타깃은 다릅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주 지지 기반인 30대부터 50대까지의 유권자들에게 '투표를 적극적으로 해달라' 호소하는 거고요. <br> <br>국민의힘은 열세 분위기와 부정선거 의혹 탓에 투표를 포기하는 지지층을 겨냥한 겁니다. <br><br>그리고 20대 총선부터 21대 총선, 그리고 지난 대선까지의 사전 투표율인데요. <br> <br>보시다시피 점차 늘고 있습니다.<br> <br>이번 선거에서도 더 올라갈 가능성이 크죠. <br> <br>선관위 발표에 따르면 4428만 명이 참여하는 이번 선거, 여야 모두 저마다의 셈법으로 유권자들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. <br><br>안보겸 기자와는 조금 뒤에 다시 이야기 나누겠습니다.<br /><br /><br />안보겸 기자 abg@ichannela.com